연음법칙, 그러나...
연음법칙 아시죠? 연음법칙은 우리말을 발음할 때 매우 폭넓게 적용되는 규칙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연음법칙은 앞 음절의 받침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가 이어지면, 앞의 받침이 뒤 음절의 첫소리로 발음되는 음운 법칙으로, ‘하늘이’가 [하느리]로 소리 나는 것 따위를 이릅니다. 그러므로 '꽃이'는 [꼬치], '닭이'는 [달기], '선이'는 [서니]'로 소리납니다.
그런데 예외가 있습니다. 우리말 자음의 이름을 발음할 때, 아래 6개는 이 연음법칙이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알 수 없습니다. 아마도 예외적으로 이렇게 발음하고 있는 듯합니다.
ㄷ[디귿] 〔ㄷ이[디그시], ㄷ만[디근-]〕
ㅈ[지읃] 〔ㅈ이[지으시], ㅈ만[지은-]〕
ㅊ[치읃] 〔ㅊ이[치으시], ㅊ만[치은-]〕
ㅌ[티읃] 〔ㅌ이[티으시], ㅌ만[티은-]〕
ㅍ[피읍] 〔ㅍ이[피으비], ㅍ만[피음-]〕
ㅎ[히읃] 〔ㅎ이[히으시], ㅎ만[히은-]〕
무슨 얘기냐 하면, '돋우다'라는 낱말은 [도두다]라고 발음합니다. 연음법칙에 따라 받침 ㄷ이 뒤로 이사를 간 것이지요. 그런데 위에 적은 것처럼 ㄷ의 이름을 말할 때, 혼자 있으면 발음은 [디귿]입니다. 그런데 '디귿입니다'를 묶어서 읽으면 [디그심니다]가 되는 거지요. 마찬가지로 "디귿을 지워라"라고 할 때는 [디그슬 지워라]라고 발음합니다. 연음법칙이 적용된다면, "디그들 지워라"라고 해야 하는데 말이죠. 이상하지요? 이상하지만 어쩔 수 없네요. 이유를 아시는 분은 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