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막걸리가 인기입니다. 젊은 여성들 가운데에도 막걸리를 찾는 이들이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요, 아무리 막걸리가 맛있어도 트림은 조심하셔야 합니다. 여하간 일본에서도 우리 막걸리가 인기여서 외화 벌이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일본 사람들은 우리 막걸리를 ‘맛코리’라고 발음한다고 합니다. 김치를 ‘기무치’라고밖에 발음하지 못하는 것과 같은 현상이겠지요. 어쨌거나 엄연한 사실은 ‘맛코리’가 아닌 막걸리라는 겁니다.
얼마 전 농림수산식품부가 막걸리 세계화를 촉진하기 위해 실시한 ‘막걸리 영문 애칭 공모’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영문 애칭이니까 막걸리를 외국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는 영어로 된 별명 같은 거겠지요. 심사 결과 ‘드렁큰 라이스’가 1위로 뽑혔다고 하더군요. ‘드렁큰 라이스’는 막걸리가 쌀로 만든 술이라는 걸 외국인들에게 알리기 쉽다는 이유로 심사위원들로부터 높은 점수를 받았다고 합니다. 그런데요, 어떤 분 얘기를 들으니 ‘드렁큰 라이스’라고 하면 ‘술 취한 동양인’을 의미한다고도 합니다. 마시면 취하는 게 술이고 술을 마시면 취하기도 하는 것이지만 ‘술 취한 동양인’, 이거 얘기가 좀 엉뚱한 길로 샌 거 아닐까요?
외국인들에게 막걸리를 알리기 위해서 이런 행사를 했다고 합니다만 애당초 단추를 잘못 끼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일본을 대표하는 술이 ‘사케’이고 프랑스를 대표하는 술이 ‘와인’이라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술은 그저 그 이름 그대로 ‘막걸리’면 되지 않을까요?
'한글이 희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화문' 이 좋다 (0) | 2010.07.21 |
---|---|
올바른 언어생활, 남은 건 실천이다 (0) | 2010.06.23 |
한글박물관을 아십니까? (0) | 2010.05.26 |
스승의 날과 세종 (0) | 2010.05.21 |
지명은 역사다 (0) | 2010.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