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중국조선어정보학회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최근 `조선어국가표준워킹그룹`을 구성하고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휴대형 기기는 물론이고 PC 키보드용 조선어 입력 표준과 소스코드, 지역식별자 등 네 가지 표준 마련에 착수했다.
중국 정부는 조선어를 사용하는 북한과 한국의 의견을 수렴해 표준을 만들기로 하고 국제 협력까지 제안한 상황이다. 여기에 자국 내 수많은 소수민족 언어에 대해 표준을 정립해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한다는 명분까지 내세우고 있다. 중국은 북한에서 10명의 연구사를 지원받아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자국 내 휴대폰과 PC 등의 조선어 입력방식을 표준화한 후 ISO 국제 표준으로 상정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의 조선어 입력 표준이 ISO에 상정될 경우, 한국과 한글 입력 표준을 두고 마찰도 예상된다. 조선어국가표준워킹그룹에 참여하고 있는 중국조선어정보학회 관계자는 “중국 정부는 한국과 북한의 의견을 청취해 조선어 표준 입력 방식을 만드는 작업에 착수했다”며 “한글과 관련한 PC 및 모바일 기기 자판에 대한 국제 표준이 없는 상황으로 중국이 먼저 조선어 입력 방식을 표준화할 경우 국제 사회에서 한글에 대한 한국의 입지는 좁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1010080113
이외수, ‘中 한글공정’ 격노 “짱깨들아, 한글이 부럽냐”
이외수는 이어 “진실로 귀한 것을 귀한 줄 모르면 도둑이 그것을 훔쳐간 뒤에도 무엇을 잃어버렸는지 조차 모르게 된다. 보라, 우리가 한글이라는 보물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귀중함을 모르고 소홀히 하니 중국이라는 도둑이 이를 훔치려는 마수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며 한글의 소중함을 느끼지 못하는 한국인에 대해 아쉬움을 나타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이외수는 “중국이 한글을 중국의 문화유산이라고 우기는 것은 한국이 만리장성을 한국의 문화유산이라고 우기는 것과 무엇이 다르랴. 이참에 우리도 천안문, 삼국지, 만리장성, 홍콩 다 우리 거라고 한번 우겨 볼까”라고 말했다.
http://www1.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010121042301112&ext=da
'언론보도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0년 ‘올해의 우리말 사랑꾼 · 해침꾼’ 선정 (0) | 2010.12.27 |
---|---|
7년간 무명생활 “할수 있다는 신념 하나로 (0) | 2010.10.12 |
싸목싸목 그리고 시나브로 (0) | 2010.10.11 |
2010. 10. 9. 세 번째 한글옷이날개 (0) | 2010.10.09 |
[NTN포토] 정재환 '매끄로운 진행 기대해주세요' (0) | 2010.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