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부턴가 '씨' 대신 님'을 많이 쓴다. 홍길동 님, 영희 님, 철수 님! 글을 쓸 때뿐만이 아니고 직접 상대를 부를 때도 쓴다.
"홍길동 님, 저 좀 도와 주세요."
처음에는 좀 이상했다. '씨'라는 말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데 왜 갑자기 님을 쓰는 걸까? '아무개 씨'라고 불리면 자신을 하대하는 것으로 여겨져 기분이 나쁘다는 아무개 씨의 말도 듣긴 했지만, '씨'라는 말이 남을 부를 때 쓰는 존칭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순전히 기분 문제가 아니었을까? 물론 ‘김 씨, 이 씨’ 하는 호칭에 신분 관계에 따른 하대의 느낌이 들어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씨’ 자체의 문제는 아니었다. 그래서 난 줄곧 왜 님이 유행하게 되었을까 하는 의문을 갖고 있었다. 물론 '님'을 싫어하는 것은 아니다. 나도 님을 쓴다. 다만, 그랬다는 거다. 그런데 오늘 '외솔 최현배 학문과 사상'이라는 책을 읽다가 '님'을 발견했다.
"그리하여 김 형, 이 공, 최 씨 들의 말씨를 김 님, 이 님, 최 님 들로 고쳐쓰기로 했다." (김석득, 2000, 28쪽.)
최현배 선생이 1925년경 교토대학에 유학하던 때의 이야기다. 우리 겨레의 장래를 사랑하는 길은 입으로나 손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고 몸과 행동으로 실천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호칭부터 우리말로 부르기 시작했다는 거다. '님'은 형(兄)과 공(公)과 씨(氏)를 물리치는 말이었던 것이다.
요즘 세대가 이런 옛날 얘기를 알고 '님'을 널리 쓰게 된 건지 어떤 건지는 잘 모른다. 어쩌면 이런 얘기를 부끄럽게도 나만 몰랐었는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정말 부끄럽다. 부끄러우니 부끄러운 만큼 '님'을 더 많이 써 보자.
'한글이 희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코호두’를 기다리며 (0) | 2011.02.11 |
---|---|
한글마루지 시민공청회 (0) | 2011.02.10 |
크라운산도 (0) | 2011.02.06 |
복마니 바드세여. (0) | 2011.02.03 |
포스가 느껴진다? (0) | 2011.02.03 |